코로나로 집 안에 갇힌 지 벌써 2년이 지났다.올해 임인년 새해에는 뭔가 조금은 달라지겠지 생각했지만 KBS2에서 방영된 ‘조선팝 어게인 송가인’과 눈 오는 설, 그리고 먹지 못해 속을 끓이는 대선주자들의 말장난을 제외하면 예년과 그렇게 크게 달라진 게 별로 없었다.올해 우리 민족의 명절인 설에 남부 지방을 제외하면 그래도 꽤 많은 눈이 내렸다.쓸쓸히 서 있는 소나무에 함박눈이 내리면 다른 함박눈은 서울 경복궁 궁궐 내 곳곳에 많이 내려 쌓인다.
그런가 하면 이웃 일본 북부지방에는 눈이 무려 4m37이나 쌓였다고 한다.자동차만 지나갈 뿐 2차선 도로의 제설작업을 마친 모습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.

나…붕어와 심·스본이 지상파 방송을 통해서 단독 콘서트를 열면 시청률이 10%를 넘어 특히나, 붕어 추석 특집에서는 30%에 가까운 시청률이 나오고 있었다.KBS의 2020추석 추석 특집”대한민국 어게인이나, 붕어”의 시청률은 29%로 2021추석 특집 시 무·스본의 ” 피라 대한민국”는 11.9%로 2022임·영웅의 “We”re HERO임·영운은 16.1%로 2022성·로 “여러분 감사합니다.”손에 “도 12.7%의 시청률을 기록했다.그런데 송·가인의 설 특집”조선 팝 여자 연예인 송·가인”은 제1부에서는 창극 남도 민요, 판소리, 진도)을 씻어 굿 등을 선 보였고 2부에서는 물 궁을 배경으로 국악과 트로트의 만남을 제3부에서는 우리 고유의 민요 아리랑을 주제로 한 대한민국의 홍보와 더불어 대통합을 주제로 구성까지 했으나 시청률은 불과 6.7%에 그쳤다.하기야 나도 귀가 어두워서 재방송을 봤는데….어디가 잘못되었을까?주관 방송사 KBS인 것은 같지만 설날과 추석, 그리고 명절 특집이 아니라는 것 만큼 차이가 있을 뿐 방송 시간까지 110분 같았지만 이렇게 시청률에 차이가 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를 매우 궁금하다.
[KBS 설특집 송가인의 ‘조선팝 어게인’ 1부에서 연기하고 있는 심봉사의 눈을 뜨는 장면인 창극의 한 장면]

나훈아처럼 재방송은 절대 안 된다 VOD 제작은 없는 것으로 한다는 조건을 제시한 것에 어떤 영향력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?아니면 나훈아나 심수봉, 송해처럼 데뷔한 지 반백 년이 넘을 정도로 많은 계층의 팬 확보가 충분치 않은데다, 임영웅처럼 대한민국 스타 1, 2위 자리를 넘어설 정도의 인기를 누리고 있지도 않은 위치에 있었기 때문일까?아니면 국악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보통 불과 1% 내외임을 무시하고 송가인이 민족의 명절을 강조하기 위해 국악 중심의 민요, 판소리, 창극 중심의 구성을 강행한 것이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았기 때문일까?아니면 한국의 국민성 어딘가에 분명히 어떤 문제가 있었기 때문일까?오늘밤 이 답을 찾기위해 잤다…


